2010. 3. 6. 11:33ㆍ규정공파 계보도
자신이 몇대손인지 확인하려면 위
주소를 클릭하여 확인 해보세요.
시조 박혁거세왕에 관하여...
⊙ 개국의성조 혁거세왕
- 기원전 69년~서기4년, 신라의 건국시조이며 박씨의 시조로, 우리나라 박씨의 유일 시조이다. 재위는 기원전 57년~서기4년이다.
- <삼국사기>에 의하면, 혁거세는 경주 나정의 큰 알에서 태어나 이미 나이 10여세 때 매우 출중함을 보였고, 그 탄생 또한 신비하여 존경을 받다가 나이 13세 때인 기원전 57년에 당시 고조선의 유민들이 세운 진한 6촌의 촌장들로부터 왕으로 추대되어 신라의 시조왕이 되었다. 당시의 왕호는 거서간(居西干), 국호는 서라벌(徐那伐)이라고 하였다. 기원전 41년 왕은 비 알영과 함께 육부를 순행하며 농사를 장려하였다. 기원전 37년 서울에 성을 쌓아 금성이라 하였고, 기원전 32년 금성에 궁성을 지었다. 기원전 28년 낙랑이 침범해 왔으나 국경의 백성들이 밤에도 문을 잠그지 않고, 들에는 곡식더미가 즐비한 것을 보고 '도덕의 나라'라 부르며 스스로 물러갔다. 기원전 20년 마한의 왕이 공물을 보내지 않는다하여 노했는데, 이듬해 마한의 왕이 죽자 신하가 이를 큼타 마한을 치자고 하였으나 혁거세는 남의 불행을 이용하는 것은 어질지 못하다 하며 오히려 사신을 보내어 조문하였다. 기원전 5년 동옥저(東沃沮)에서 사신이 와서 말 20필을 바쳤다. 서기 4년 3월에 승하하여 담암사(曇巖寺) 북쪽에 장사 지냈다.<이상은 삼국사기의 내용>
![]()
오릉의 전경
오릉의 전경박씨 본관
박씨의 본관은 127개이며, 1985년 현재 3,435,640명이 있다.
- 강남, 강릉, 강원, 강진, 경주, 고령, 고성, 고흥, 공주, 광산, 광주, 구산, 군위, 김해 나주, 난포, 남양, 남원, 남주, 남평, 노성, 단양, 달성, 담양, 대천, 덕원, 덕진, 면천, 명성, 무안, 문의, 문주, 문화, 미산, 밀양, 반남, 보성, 봉산, 부산, 부안, 비안, 사천, 삼척, 삼화, 상산, 상성, 상영, 상주, 선산, 설성, 성신, 성주, 수원, 순창, 순천, 순흥, 안동, 안성, 압해, 야성, 언양, 여수, 여주, 연안, 영암, 영양, 영월, 영천, 영해, 영흥, 예천, 우봉, 운봉, 울산, 월성, 은풍, 음성, 의령, 의성, 의형, 의흥, 이산, 인제, 인천, 일성, 임실, 장성, 장흥, 전주, 정선, 정승, 정주, 제주, 주계, 죽산, 증평, 진안, 진원, 진주, 진흥, 창녕, 창원, 천안, 청송, 청주, 초계, 춘천, 충주, 태안, 태인, 평산, 평양, 평주, 평택, 하명, 한산, 한양, 함안, 함양, 함열, 함평, 함흥, 해남, 해남, 해명, 해주, 현천, 현풍
밀양박씨는 조선조 동안에 문과 급제자 261명, 상신 1명, 대제학 2명, 청백리 2명을 배출하였다.
- 항렬표(아래 항렬표는 기본이 되는 항렬표이며, 각 파별로 더욱 세분화 되었는데, 그 중 밀양박씨 규정공파에 관한 상세한 항렬표를 별도 파일로 정리하였습니다.)
24세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노(魯)
재(在)
용(鏞)
호(浩)
인(仁)
열(烈)
중(重)
호(鎬)
해(海)
식(植)
연(然)
요(堯)
성(性)
신(信)
상(商)
수(洙)
주(柱)
용(容)
시(時)
흠(欽)
윤(潤)
근(根)
헌(憲)
균(均)
병(炳)
규(圭)
종(鍾)
순(淳)
상(相)
희(熙)
준(俊)
구(九)
한(漢)
권(權)
응(應)
배(培)
밀성부원군파
27세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희(熙)
규(奎)
용(鏞)
수(洙)
병(棅)
돈(燉)
중(重)
호(鎬)
락(洛)
동(東)
병(炳)
헌(憲)
휴(烋)
기(基)
선(善)
흡(洽)
기(棋)
엽(燁)
남(南)
용(鎔)
영(泳)
주(柱)
현(炫)
석(錫)
판도판각공파
29세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한(漢)
빈(彬)
병(炳)
규(圭)
용(鎔)
영(泳)
동(東)
희(熙)
재(在)
호(鎬)
태(泰)
근(根)
밀성군파
27세
28
29
30
31
32
33
34
35
선(善)
영(泳)
근(根)
유(裕)
희(喜)
상(常)
연(淵)
화(和)
병(炳)
준(濬)
주(柱)
연(然)
종(種)
용(鏞)
해(海)
식(植)
사(思)
성(城)
밀원부원군파
20세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源)
병(秉)
섭(燮)
성(聖)
호(鎬)
윤(潤)
동(東)
우(愚)
주(周)
용(鏞)
만(滿)
수(秀)
순(淳)
인(仁)
열(烈)
요(堯)
탁(鐸)
해(海)
목(穆)
돈(燉)
희(喜)
일(鎰)
락(洛)
근(根)
규정공파(糾正公派)의 돌림자(5행:金,水,木,火,土)
25 재, 신, 규 (在,·信,·圭)
26 용,상,·종 (鏞,·商,·鍾) 종문, 종용,
27 호,·수,·순 (浩,·洙,·淳) 창순, 병순,
28 인,·주,·상 (仁,·柱,·相) 상덕, 상봉,
29 열,·용,·희 (烈,·容,·熙) 철희, 승희, 원희, 준희,
30 시,·준 (時,·俊)
31 호,·흠,·구 (鎬,·欽,,九)
32 해,·윤,·한 (海,·潤,·漢)
33 식,·근,·권 (植,·根,·權)
34 헌,·응 (憲,·應)
- 密陽朴氏 糾正公派 -
□ 항렬(行列)이란?
★ 같은 혈족사이에 세계(世系)의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한 문중율법(門中律法)이다.
항렬자란 이름자 중에 한 글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같은 血族 같은 世代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돌림자라고 합니다.
★ 선조들은 자손들의 항렬자와 배합법(配合法)을 미리 정해 놓고
후손들이 그것을 따르도록 관례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 항렬(行列)의 글자 유래
0 십간(十干) 순으로 쓰는 경우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를 순서적으로 쓴다.
0 십이지(十二支) 순으로 쓰는 경우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를 순서적으로 쓴다.
0 숫자를 포함시키는 경우
일(一: 丙). 이(二: 宗). 삼(三: 泰). 사(四: 寧).등으로 쓰는 경우
0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으로 쓰는 경우
金. 水. 木. 火. 土의 변을 사용하여 순서적으로 쓰는 경우인데,
이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 항렬은 家門과 파(派)마다 각기 다르며
장손(長孫)계통일수록 낮고
지손(支孫)계통일수록 높아서
자기보다 나이가 적어도 할아버지뻘이
되는 경우가 있어 존대어를 쓰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항렬(行列) 순서 (숫자는 규정공을 기본으로 한것임)
1세 - 규정공
2세 (1대)
.
.
.
.
24세(대) : 성(性). 노(魯). 병(炳). 배(培). 종(鍾)
25세(대) : 규(奎). 신(信). 재(在). 종(鍾). 우(雨)
26세(대) : 종(鍾). 상(商). 용(鏞). 수(洙). 병(秉)
27세(대) : 순(淳). 수(洙). 호(浩). 병(秉). 희(熙)
28세(대) : 상(相). 주(柱). 동(東). 우(遇). 기(基).
29세(대) : 용(容). 희(熙). 렬(烈). 규(圭). 령(鈴)
30세(대) : 차(車). 희(喜). 준(埈). 선(善). 영(永)
31세(대) : 용(鎔). 흠(欽). 구(九). 영(泳). 계(桂)
32세(대) : 한(漢). 윤(潤). 해(海). 상(相). 찬(燦)
※ 상기 항렬은 규정공파에 적용되는 항렬이고 파에 따라 다름니다.
○ 항렬(行列)은 世(代)별 순서대로 이름자에 붙어 족보에 등재한다.
○ 홀수대는 이름의 끝자에, 짝수 대는 중간에 돌림자를 사용한다
* 아래 항렬표는 남원에 거주하는 절도사공파의 계도이다
10세 춘성 할아버지후손과 함께 주생 제천리 후손들이 제를 모시고 있음
1
1세 糾正公派
박 현 朴 鉉
中祖
↓
2
문유文 有
↓
3
1子)사경 思 敬
2子)사인 思 仁
3子)사민 思 敏
↓
4
심 沈
↓
5
1자)지생 祗 生
2자)강생 剛 生
3자눌생 訥 生
4자)신생信 生
↓
6
1子)의 문 疑問
2子)절 문 切問
3子)심 문 審問
↓
7
絶度使公
1子)대손 大 孫
2子)중손 仲 孫
↓
8
1子)양 樣
2子)근 根
3子)권 權
4子)평 枰
5子)환 桓
6子)온 榲
↓
9
1子)계종 繼種
2子)춘종 椿 種
3子)승명 承 明
4子)승원 承 遠
5子)승욱 承 煜
↓
10
춘 성 春 成
良村公
↓
11
1子)명길 命 吉
2子)충연 忠 蓮
3子)효연 孝 蓮
4子)희연 喜 蓮
5子)인안 引 安
↓
12
1子)흥남 興 男
2子)정수 延 壽
3子)연수 廷 壽
4子)경하 庚 夏
↓
13
응길 應 吉
↓
14
1子)의선 宜 善
2子)의홍 宜 弘
3子)의선 宜 善
↓
15
사운 仕 雲
↓
16
1子)석동 碩 東
2子)고동 高 東
3子)태동 台 東
↓
17
1子)만귀 萬 貴
2子)만필 萬 弼
3子)만상 萬 相
4子)만영 萬 榮
오위장
동 ↓ 지
중추부사
억더울억대동파
18
1子)서윤 瑞 潤
2子)서흥 瑞 興
↓
19
1子)연환 蓮 煥
2子)문환 文 煥
3子)민환 珉 煥
↓
20
1子)기택 基 澤
2子)기윤 基 允
↓
21
석주 錫 鉒
↓
22
준화 準 鏵
↓
23
1子)명수 明洙
2子)정열 正 열
↓
24
절도사공 중조 할아버지의 묘이다.
대손 할아버지는 왕의땰 공주와 연을 맺으셨다
규정공 중조 후손 전체가 각 파를 떠나서 여기에서 식사를 한다
절도사공 은 제각을 마련하여 매년 3월 11일날 따로 제를 모심...
(2015년 11 12일) 규정공 현 할아버지의 묘사는 음력10월 1일 원당에서 제를 올린다
'규정공파 계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봉서리 박현 선조 시제 참가 (0) | 2014.04.06 |
---|